반응형
군 복무 유형에는 크게 현역, 공익(사회복무요원), 보충역 등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.
이는 신체검사 등급이나 개인 사정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.
오늘은 각 병역 유형의 차이점과 특징을 한눈에 정리해보았습니다!
✅ 신체 등급 판정기준
🪖 현역병이란?
신체 등급 1~3급을 받은 사람은 현역병 입영 대상입니다.
- 군 훈련소 입소 → 정규 군 부대 배치
- 육군, 해군, 공군, 해병대 중 선택 가능
- 병사 월급과 복지혜택도 지속적으로 개선 중
▶️ 현역은 가장 전통적인 군 복무 방식으로, 훈련이 가장 강도 높습니다.
🧑💼 사회복무요원이란?
신체 등급 4급을 받은 사람은 보충역으로 분류되며,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하게 됩니다.
- 입소 전 4주간 기초군사훈련
- 이후 사회복지시설, 지자체, 교육청 등에서 행정보조 근무
- 출퇴근 형태로 주말은 휴무
▶️ 보충역 편입 등 '병역복무 변경, 면제 신청서'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
병역판정검사 결과에 따라 병역의무를 이행해야 합니다!
<신청 등에 의한 병역 감면 처분 대상>
- 부,모,배우자 또는 형제,자매 중 전몰군경, 순직군인 및 상이정도가 6급 이상인 전상군경,공상군인이 있는 경우
- 6개월 이상 1년 6개월 미만의 징역 또는 금고의 실형을 선고 받은 사람
- 1년 이상의 징역이나 금고 형의 집행유예를 선고 받은 사람
- => 관련 서류를 제출하고 병역판정검사 실시 후 보충역 처분 됩니다.
📌 둘 중 선택할 수 있을까?
선택은 불가능하며, 병무청에서 진행하는 신체검사 결과와 기준에 따라 자동 분류됩니다.
단, 본인이 평소 앓고 있는 질환이나 부상 등이 있다면
신체검사 시 의료기록, 진단서 등을 제출해 등급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
✅ 현역 vs 사회복무요원, 뭐가 더 나을까?
각자의 상황에 따라 장단점이 분명합니다.
- ✔ 현역은 복무 기간이 짧고, 군 경험이 명확히 남습니다.
- ✔ 사회복무요원은 출퇴근 가능, 부담이 적지만 복무 기간이 더 깁니다.
결국 본인의 신체 상태와 성향에 따라 자연스럽게 결정되는 부분이기 때문에,
미리 대비만 잘해두면 어떤 형태든 문제없이 잘 마칠 수 있습니다 😊
🔒 참고사항
- 이 글은 2025년 기준 병무청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- 병역 관련 규정은 매년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병무청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하세요.
'군대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육군 훈련소 PX 이용 꿀팁 + 인기 간식 TOP10 (2) | 2025.04.03 |
---|---|
육군 논산 훈련소 일과표 & 훈련 기간 (2025년 기준) (0) | 2025.04.03 |
군 입대 전 치과·피부과 진료 꼭 받아야 하는 이유 🦷 (0) | 2025.04.02 |
입대 전 꼭 해야 할 5가지 체크 리스트 ✅ 가족·금융·건강까지 총 정리 (0) | 2025.04.02 |
2025년 최신 군입대 준비물 리스트📦 훈련소 반입 가능/불가 정리! (0) | 2025.04.01 |